지난 9월 22일, 고려대학교 SK미래관에서 ‘2023 해양·선박 사이버보안 워크샵’이 개최됐다.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스마트시티보안교육연구단과 정보보호연구원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며, 해양·선박 사이버보안 분야의 대표적인 네트워킹 및 정보 공유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.특히, 올해는 국제선급협회(IACS)의 사이버보안 규정 시행과 해양수산부의 해사 사이버안전대책 발표를 앞두고 국내외 조선·해양 관계자 및 보안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관심을 보였다.
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은 개회사에서 “해양 사이버 안보 확립의 중요성”을 강조하며, 해군의 ‘네이비 씨 고스트’와 같은 유·무인 복합체계에서 사이버보안이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. 임중재 해군 정보화기획참모부장(소장)은 축사에서 사이버 위협이 기존 군사적 위협을 넘어 비군사적·초국가적 위협으로 확대되고 있다며, 이번 워크샵이 미래 해양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.
행사에서는 미국선급(ABS) 및 Schneider Electric 관계자들이 해외 해양 사이버보안 동향과 선박 보안 설계의 중요성을 발표했다. 고려대 김승주 교수는 선박보안 내재화 및 RMF 표준 적용을 설명했으며, 해군본부 김영환 소령은 함정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. 또한, 한화시스템, 국민대학교, LIG넥스원, 한화오션, 해양경찰청, 마린웍스, 싸이터(CYTUR) 등 주요 기관과 기업 전문가들이 사이버보안 위협 동향과 대응 전략, 위협 탐지 기술, 보안 설계 방안 등을 발표하며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.
이번 워크샵은 해군, 해양경찰청, 조선소, 방산업체, 해운사, 보안업체 등 산·학·연·관이 협력하여 스마트 선박 보안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한 자리로 평가된다. 해양 산업이 점점 더 디지털화됨에 따라, 선박 및 해양 시스템의 사이버 위협 대응과 보안 내재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이 강조된 만큼,
앞으로도 관련 연구와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.
#News on The Detail 🗞️
출처 : (https://www.boannews.com/)